대만 여행 시 묵을 호텔 예약 확인 메일 보내기 및 답장 받은 후기입니다. 예약 확인 메일을 보낸 이유와 보낸 내용, 그리고 답장은 어떻게 왔는지 보여드립니다. 그리고 만약 예약 확인 메일을 보내고 싶은데 메일 주소를 모를 경우 어떻게 찾으면 되는지도 알려드려요.
목차
대만 여행 호텔 예약 확인 메일 보낸 이유

잠깐 찾아봤더니 이런 제목들이 있네요. 하필 둘 다 아고다인데, 제가 몇 년 전 베트남 여행 갔을 때 쯤엔 부킹닷컴에서 항공권 오버부킹으로 인해 강제 취소 당한 분들도 계셨었습니다. 여기어때였나, 야놀자인가 국내 숙소 예약 업체들 후기도 검색해 보면 종종 체크인하러 갔는데 예약 내역 자체가 없었다거나, 체크인하는 날 갑자기 취소 당했다거나 등등 다양한 사례들이 있더라고요.
살다보면 별 일이 다 있을 수 있습니다.
물론 호텔 예약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막상 당일날 예약이 안 되어 있더라! 한다면 “이야! 이건 유튜브 각이다!” 할텐데요.
보통은 여행 유튜버가 아닌 이상, 어쩌면 여행 유튜버들도 이런 당황스러운 경험은 하고 싶지 않을 겁니다.
특히나 성인들끼리만 가는 여행이라면 “참, 살다보니 별 일 다 있다”라며 방안을 찾아보고 크게 가리지 않고 하룻밤 정도는 아무 데서나 묵을 수도 있겠지만, 전 초등 저학년, 중학생 딸들을 데리고 그런 경험을 하고 싶진 않아요.
물론 꼭 아이들 때문이 아니더라도 체크인 최소 사나흘 전, 예약 확인 메일은 보내는 게 맞다고 생각하는 J입니다.
예약 확인 메일 내용 쓰기

중국어 복수전공을 하긴 했지만 다 까먹었어요. 어디 가서 전공했다고 얘기하기도 부끄러울 정도로요. 게다가 대만은 번체 써서 읽을 줄도 몰라요.
영어가 편하지만 굳이 영어로 확인 메일을 보낼 것까진 없고, 어차피 읽을 사람은 대만인이니 중국어로 메일을 보냈습니다.
우리에겐 chatgpt도 있고, 성능이 무척 좋아져서 번역가들 밥줄 끊는(경험담) 번역기들이 있으니까요.
위의 내용을 한국어로 적어보자면 이러합니다.
제목: 예약 확인 및 심야 체크인 알림
내용:
담당자님, 안녕하세요.
Trip.com을 통해 예약한 객실 정보를 확인하고 싶습니다.
제 숙박 기간은 2025년 5월 ~입니다.
예약 번호는 ~ 입니다.
제가 예약한 객실은 [스타룸]으로, 4인 숙박이 가능하며, 더블침대 2개가 있습니다.
또한, 제 도착 시간은 5월 ~일 ~ 시입니다.
그래서 밤늦게 체크인할 예정이니, 방을 보존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움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제가 있으시면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안녕히 계세요.
(편지 마무리 표현) 드림
(예약된 내 영어 이름)
위의 내용을 중국어(번체자)로 메모장에 만들어 아래 파일 다운로드 링크 연결해 두었습니다.
그대로 복사하셔서 메일에 붙여 넣으시면 되고, 괄호 안의 내용들만 해당하는 내용으로 바꿔쓰세요.

답장이 안 오면 조금 신경쓰였을 것 같은데 다행히 오전 중에 보내서인지 1시간 내에 답장을 받았습니다.
위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친애하는 고객님, 안녕하세요.
고객님의 예약을 확인하였습니다. 알려주신 도착 시간은 예약에 메모해 두겠습니다!!
미리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저희 프런트는 24시간 운영되며, 객실은 보존해 드릴게요~
감사합니다^^
EVA HOU
예약번호로 예약 확인도 했고, 체크인이 새벽 시간이기 때문에 혹시 예약이 취소될까봐 살짝 신경 쓰였었는데 레이트 체크인도 미리 알렸으니 한시름 놨습니다.
메일 주소 찾는 방법

트립닷컴의 제 예약 내역에 보면 호텔 정보에 전화번호와 주소만 있지 이메일 주소가 없었습니다.
전화를 할 수 있다면 하는 것도 나쁘진 않겠지만 문서로 남겨두는 것이 중요하니까요.
그런데, 메일 주소가 없어서 트립닷컴을 열심히 뒤져봤으나 찾을 수 없더라고요. 어떤 호텔은 메일 주소가 있기도 합니다. 다 없는 건 아니었어요.
이대로 그만 두기엔 찝찝했습니다.
그러다 생각한 것은 아고다였습니다. 아고다에서는 항상 아고다 사이트를 통해 호텔 측에 메일을 보낼 수 있었거든요.

그래서 아고다 들어가기 전에 구글에서 검색했더니 위와 같이 호텔 정보가 뜨더라고요. 여기서 [웹사이트]를 클릭하니까 해당 호텔 웹사이트로 바로 연결이 됐고요.
웹사이트는 보통 제일 아래에 저작권 표시하는 곳에 메일 주소가 적혀 있거나 메일을 보낼 수 있는 링크가 있거나, 혹은 1:1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찾아봤더니 다행히 메일 버튼이 있더라고요. 작동을 안 해서 문제였지만요.
하지만 페이스북 링크가 있었습니다. 페이스북에서 DM이라도 보내자 싶어 들어갔는데 페이스북에 다행히 이메일 주소가 2개나 있었습니다.
그래서 두 곳 모두에 동일한 메일 주소를 보냈고, 사실 답장도 두 곳에서 모두 동일하게 왔습니다.
즉, 간단히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호텔 예약 업체측에서 제공하는 호텔 이메일 주소가 없다면!
1. 구글에서 호텔명을 검색하여 호텔 사이트에서 이메일 주소를 찾는다.
2. 호텔 페이스북을 찾아본다.
3. 내가 예약한 사이트가 아닌 다른 호텔 예약 사이트를 찾아본다.
이렇습니다. 특히나 호텔은 이메일 서비스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예약은 했지만 체크인 전에 호텔측에 특별히 부탁하고 싶은 추가 요청사항이 들어오기도 하거든요.
금연객실을 선택 안 했는데, 금연객실로 해달라거나 추가 침구 요청, 저처럼 늦은 체크인 알림, 드라이기가 있는지, 금고가 있는지 등등이요.
그러니 메일 주소는 찾아보면 다 나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정보는 다다익선이라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는데 나이가 들수록 기억력의 한계와, 시간의 한계로 인해 더 알아가지 못해 아쉬울 따름이죠. 대만 여행을 위해 준비하느라 알아낸 정보들, 준비한 내역들 등을 거의 대부분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제 블로그에 있는 대만 관련 정보를 아래 링크에서 목록으로 한 눈에 보실 수 있으니 혹시 찾고 계신 정보라거나 생각도 못했는데 갑자기 궁금해진 정보들이 있는지 찾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