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미니 소득공제 신청을 했습니다. 아이들이 카카오미니 카드를 사용하고 있다면 잊지 말고 반드시 소득공제 신청을 해야 합니다. 꼭 신청해야 하는 이유와 소득공제 신청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목차
카카오미니 소득공제 신청해야 하는 이유
아이들이 카카오미니 체크카드를 사용하고 있다면 반드시 소득공제 신청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이 1년간 쓰는 용돈을 계산해 보면 은근히 금액이 크기 때문입니다. 또한 카카오미니는 체크카드이기 때문에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율이 30%로 높습니다. 그러니 하지 않을 이유가 없는 것이죠.
그리고 아이가 성년이 될 때까지는 계속해서 카드 사용액은 커져갈 테니까요. 카카오미니 소득공제는 어떻게 하면 될까요? 1분도 안 걸리니 한 번 따라해 보세요.
카카오미니 소득공제 신청 방법

카카오미니 소득공제는, 자녀의 휴대폰에 깔려있는 카카오뱅크 앱으로 들어가서 신청하면 됩니다.
위와 같이 카카오뱅크 메인 화면이 나오면 제일 아래 오른쪽에 있는 점 세 개, [전체]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위와 같이 전체 메뉴가 나왔나요?
여기에서 [My]라는 메뉴에 있는 [내 mini카드]로 들어갑니다.
저는 포스팅을 하느라 한 번 들어갔다가 다시 나와서 스크린샷을 찍었기 때문에 [최근] 목록에도 [내 mini카드]가 있어요.

지난 주에 발급 받았고, 어제까지 아이쿠카 카드를 이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아직까지 아이가 사용한 내역이 없습니다.
위와 같이 카드 사용 내역이 나오면 오른쪽 위에 있는 톱니 모양으로 된 설정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그럼 위와 같이 [카드관리]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여기에서 아래 [내 카드 관리]에 있는 [소득공제 신청]을 클릭해 주세요.

자녀가 미성년자이기 때문에 소득공제 신청을 하면 위와 같이 <소득공제 신청을 위한 보호자 동의 페이지>가 열립니다.
동의한다는 체크 박스를 선택하면 아래 [다음]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다음을 누르면 본인인증을 하는데, 보호자의 본인인증이 아니라 자녀의 본인인증입니다.
자녀 이름 적고, 주민등록번호 적으면 비밀번호로 넘어갑니다.
비밀번호 6자리는 카카오미니에 가입하면서 설정했던 카카오뱅크 비밀번호 6자리입니다.
본인인증까지 끝내서 소득공제 신청을 완료하면 다시 소득공제 신청하기로 들어갔을 때 신청 완료되었다는 내용이 떠있습니다.
해당 부분은 스크린샷 금지가 되어 있어서 찍지는 못했습니다.

잠시 기다리면 자녀의 휴대폰으로 위와 같이 소득공제 신청 알림톡이 옵니다.
그리고 보호자의 휴대폰으로도 자녀가 소득공제 신청을 했다는 알림 문자가 옵니다.
이 때 보호자는 자녀의 부양가족 자료 제공 받는 보호자가 아니라 자녀의 휴대폰에 카카오뱅크를 깔고 카카오미니를 신청하면서 입력한 보호자의 휴대폰 번호입니다.
어쨌든, 이렇게 카카오미니 소득공제 신청은 끝났습니다. 참 쉽죠?
남은 작업
남은 작업은, 자녀의 카드 사용 내역을 보호자의 소득공제에 합산하기 위해 부양가족 자료 제공동의를 하는 부분입니다.
저는 예전에 아이들 교통카드 소득공제 신청을 하면서 해놓았었습니다.
참고: 자녀의 티머니 교통카드 소득공제 신청하는 방법
그런데 링크를 넣으려고 제 글을 한 번 읽어보니 큰 아이는 남편 앞으로, 작은 아이는 제 앞으로 해놨었네요.
지금도 여전히 그렇게 돼있는지, 아니면 중간에 한 번 바꿨는지 모르겠습니다.
자영업자로 되어 있는 저보단 직장가입자인 남편이 소득공제 받는 것이 훨씬 유리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조만간 확인해 봐야할 것 같습니다.
남편 밑으로 두 아이 모두 부양자 자료 제공하는 걸로 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고, 안 되어 있다면 남편 밑으로 두 아이 모두 자료 제공하도록 바꿔놓으려고요.
둘째 아이 휴대폰에 삼성월렛으로 카카오미니를 넣어주려고 했는데 삼성월렛이 왜 안 보이는지 모르겠습니다.
큰 아이는 넣어줬는데 말이죠.
다시 한 번 찾아보고 둘째 아이도 휴대폰으로 카카오미니 삼성월렛 결제와 교통카드 모두 등록해 놓으려고 합니다.
그것도 완료 후 차차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